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Algorithm51

C언어, 피보나치 수열 피보나치 수열(Fibonacci Sequence)는 아래의 모습과 같이 1번째 항과 2번째 항을 더하면 3번째 항이 되고, 2번째 항과 3번째 항을 더하면 4번째 항이 됩니다. 즉, n번째 항은 n-1번째 항과 n-2번째 항의 합입니다.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 이제 피보나치 수열을 c언어를 활용하여 작성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재귀 함수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아직 잘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https://hig0617.tistory.com/25) int OdOp_fibonacci(int index) { if (index < 0) return (-1); else if (index < 2) return (index.. 2023. 12. 9.
putnbr_base, 숫자를 진법으로 변환하기 입력받은 숫자를 진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진법인 base가 적절한 형태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 봅시다. OdOp_base int OdOp_base(char *base) { int n; int i; n = 0; while (base[n] != '\0') { i = 0; if (base[n] == '+' || base[n] == '-') return (0); else if (base[n] == 32 || (base[n] >= 9 && base[n] n - 1) { OdOp_putnbr(nbr / n, base, n); } write(1, &base[nbr % n], 1); } nbr을 n으로 나누어서 나오는 나머지를 가지고 base에서 원하는 부분을 추출합니다. 그전.. 2023. 12. 7.
특정 진법 정수로 바꾸기 특정 입력받은 문자열을 정수형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을 읽기 전에 이전에 포스팅했던 atoi에 대해 아직 보지 못하신 분은 한번 참고해 주시길 바라겠습니다. https://hig0617.tistory.com/100 만약에 문자열에 공백들이 있으면 이를 제거해 주어야 합니다. 부호가 여러개가 있으면 '-'가 홀수이면 음수로 짝수이면 양수로 부호를 정해 주어야 합니다. 저희는 위의 역할을 해주는 함수를 OdOp_sign이라 정하겠습니다. OdOp_sign char* OdOp_sign(int* sign, char* str) { while (*str == 32 || (*str >= 9 && *str = 9 && base[n] = 9 && *str = 9 && base[n] 2023. 12. 5.
C언어, JUNGOL 201 ~ 210 jungol 201부터 jungol 210까지 c언어로 작성된 코드입니다. 참고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jungol 201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 int main(void) { int n1; int* ptr = &n1; scanf("%d", ptr); for (int i = 0; i < *ptr; i++) { printf("*"); } return 0; } jungol 202 #define _CRT_SECURE_NO_WARNINGS #include #include #include int main(void) { int* ptr1; int* ptr2; int *ptr3; ptr1 = (int*)malloc(sizeof(int)*1); ptr2 = (in.. 2023. 1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