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Language67

C029_strlcpy 함수 구현해서 사용하기 strlcpy는 strncpy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strncpy는 사용자가 지정한 자릿수만큼 복사 붙여 넣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찬가지로 똑같이 복사 붙여넣기 하는데 return해주는 값이 다릅니다. 복사하는 대상의 문자열 길이를 리턴해줍니다. size_t strlcpy(char *dest, char *src, size_t destsize) dest에 src를 destsize-1만큼 복사해 줍니다. (null문자를 포함하기 때문입니다.) 반해주는 값은 src의 길이입니다. 이때 dest나 src중 하나라도 문자열이 비어있다면 0을 반환해 줍니다. unsigned int OdOp_strlcpy(char *dest, char *src, unsigned int size) { unsigned.. 2023. 10. 24.
C028_strncpy 함수 구현해서 사용하기 strncpy는 입력받은 n개의 수만큼 문자열을 복사하여 붙여 넣는 것을 뜻합니다. 이때, 복사할 공간의 크기가 충분해야 합니다. sting.h에 선언이 되어있습니다. 한번 사용해 보겠습니다. #include #include int main() { char src[10] = "Hello!"; char dest[10]; strcpy(dest, src, 3); printf("%s\n", dest); return 0; } 문자열을 출력할 때에 null을 기준으로 끝을 알아내서 출력합니다. strncpy 함수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strncpy 함수 구현 char *OdOp_strncpy(char *dest, char *src, unsigned int n) { unsigned int i; i = 0; while.. 2023. 10. 21.
C027_strcpy 함수 구현해서 사용하기 strcpy는 null까지 포함하여 문자열을 복사하여 붙여 넣는 것을 뜻합니다. 이때, 복사할 공간의 크기가 충분해야 합니다. sting.h에 선언이 되어있습니다. 한번 사용해 보겠습니다. #include #include int main() { char src[10] = "Hello!"; char dest[10]; strcpy(dest, src); printf("%s\n", dest); return 0; } 문자열을 출력할 때에 null을 기준으로 끝을 알아내서 출력합니다. strcpy 함수를 구현해 보겠습니다. strcpy 함수 구현 char *OdOp_strcpy(char *dest, char *src) { int i; i = 0; while (src[i] != '\0') { dest[i] = src.. 2023. 10. 20.
C026_write함수 문자열 출력하기 write함수에 대해 아직은 잘 모르시는 분들은 아래의 링크를 한번 참고 부탁드립니다. https://hig0617.tistory.com/47 write함수 문자열 출력하기 buf의 크기 즉, 문자열의 크기만 잘 설정해 주면 문제없습니다. #include int main(void) { write(1, "abcd", 4); return (0); } 위의 코드처럼 잘 작성해 주시면 문제없이 abcd가 잘 출력이 될 것입니다. 2023. 10. 13.
반응형